2018-03-05
2018-03-05
vS 야생 Data Reaper Report #7
ViciousSyndicate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번역본 제공이오니 무단 복사 배포는 지양해주시길 바랍니다. 이전 리포트와 겹치는 덱이 있어, 덱리스트 제목에 이전 버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야생 vS 데이터 리포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우리는 r/WildHearthstone의 전문가들이며, 비셔스 신디케이트와 파트너십을 맺어 야생 데이터 리포트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우리는 비셔스 신디케이트의 이름난 통계를 활용해 각종 논평과 분석을 제공합니다. 이 리포트의 데이터는 6만 번의 게임을 기반으로 합니다.
새 확장팩 코볼트와 지하미궁이 출시된 이후로 야생전의 메타는 크게 변화했습니다. 사제가 여전히 가장 인기가 많은 직업이지만, 메타가 많이 안정화되면서 리노 사제는 더 이상 ‘꼭 풀어야 하는 숙제’ 같은 것이 아니게 되었습니다. 큐브 흑마법사도 야생전에 등판했는데요, 등장과 동시에 메타의 정상에 안착했습니다. 현재 야생전에서 가장 강한 덱 중 하나입니다. 어그로 성기사는 신병 성기사를 넘어섰으며, 리노 사제, 큐브 흑마법사와 함께 야생전의 3두 정치 시대를 열었습니다.
말리고스 드루이드는 강한 드루이드 아키타입 중 하나입니다. 퍼져나가는 역병, 참나무 소환술, 역병의 말퓨리온 등의 방어적인 도구들에 아비아나-쿤-말리고스 OTK 카드 덕분에 어그로 덱이든 컨트롤 덱이든 잘 뚫어냅니다. 나가 바다 마녀와 함께 필드에 깔리는 큰 하수인들을 막아내기 위해 독성 씨앗 두 장이 필수적으로 채용됩니다. 한 가지 쟁점은 피니쉬 카드를 뭘 쓸 것이냐인데요, 얼굴 없는 배후자를 한 장 더 쓸 수도 있고, 곰팡이 군주 익슬리드나 알렉스트라자를 쓸 수도 있습니다.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얼굴 없는 배후자 두 장이 이번 달에는 인기가 많았습니다. 흑마법사/성기사/마법사 3대장에 비하면 말리고스 드루이드의 승률이 엄청나게 좋아 보이지는 않겠지만, 적절한 상황과 숙련된 파일럿이 갖추어진다면 충분히 성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비취 드루이드의 상황도 말리고스 드루이드와 비슷합니다. 사실, 이 두 덱은 대략 20장의 핵심 카드가 같습니다! 덱 자체가 필드 중심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비취 드루이드의 상성이 조금 더 좋은 경우가 있습니다. 알루네스 마법사, 비밀 성기사, 그리고 멀록 성기사의 경우가 그렇죠. 빅 사제나 큐브 흑마법사가 많은 메타에서는 말리고스 드루이드가 낫지만, 등급을 올리려면 전반적으로 비취 드루이드가 더 강합니다.
어그로 드루이드의 점유율은 현재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등급전에 좋은 덱입니다. 어그로 드루이드의 최대 단점은 성기사 덱들이 판을 친다는 점입니다. 몇몇 유저들은 굶주린 게를 넣어 멀록 성기사와의 매치업을 대비하기도 합니다.
GetMeowth 비취 드루이드 AAEBAZICBK6rAuC7ApS9ApnTAg1AX+QIig60uwLLvALdvgKgzQKHzgKU0gKY0gKe0gKE5gIA Jonahrah 말리고스 드루이드 AAEBAZICBLQD7BXguwKZ0wINQF/pAdMDkwTkCIoO6BXLvAKgzQKHzgKY0gKe0gIA slizzle466 어그로 토큰 드루이드 AAEBAZICAoQXkbwCDrsD9wPmBeUH9Q2OEOgVwasCtrMCzbsChsEC68ICm80Ci+UCAA==밸런스 패치 이전 메타에서 어그로 사냥꾼은 꽤 괜찮은 편이었습니다. 알루네스 마법사와 거인 흑마법사라는 최상위 덱을 상대로도 비등한 싸움을 했고, 당시 자주 보였던 빅 사제와는 상성이 좋았습니다. 야생의 벗, 길고양이, 수리검포 등의 카드들로 초반 필드를 컨트롤해서 상대의 나가 바다 마녀, 알루네스, 반즈를 이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살상 명령, 속사, 영웅 능력으로 상대를 끝내버리는 거죠. 불행히도 말리고스/비취 드루이드나 큐브 흑마법사 등 다른 여러 덱들에게는 불리합니다. 그리고 성기사는 초반 필드 컨트롤에 훨씬 뛰어난 덕분에 사냥꾼이 본체 체력을 다 까기 전에 킬각을 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어그로 사냥꾼은 3티어에 자리해 있습니다.
유저들은 더 이상 거인 사냥꾼을 선호하지 않습니다. 나가 바다 마녀를 쓰는 덱으로 대신 흑마법사를 선택했죠. 하지만, 거인 사냥꾼은 그래도 아주 강한 덱이며, 앞서 말한 거인 흑마법사와 상성이 좋습니다. 왕의 엘레크, 기워붙인 추적자, 추적은 나가 바다 마녀와 거인을 찾는 데에 아주 좋은 서치 카드들입니다. ‘약속의 5턴’을 좀 더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는 뜻이죠. 죽음추적자 렉사르도 아주 좋은 뒷심 카드인데요, 핸드를 수급하는 엄청난 효과에다가 거인들이 쓸려나간 후에 밀린 기세를 되찾아줄 수 있습니다. 어그로 덱들에는 대체로 취약한 편이지만, 느린 덱들에는 잘 버텨냅니다. 파워 랭킹에 넣을 만큼 데이터가 충분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수집한 적은 양의 데이터에서는 거인 사냥꾼이 현 메타에서 1티어 덱임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비밀 사냥꾼은 비밀지기, 미치광이 과학자, 망토 두른 여사냥꾼, 에메랄드 주문석 등의 시너지로 게임 중반에 힘을 싣는 미드레인지 덱입니다. 이 덱에는 카트레나 패키지도 들어가는데요, 왕 크루쉬, 감전된 데빌사우루스, 사바나 사자 등의 매우 강력한 후반용 야수 카드들이 포함됩니다. 또한, 모두가 사랑해 마지않는 죽음의 기사, 죽음추적자 렉사르를 채용해 그냥 죽여버리기 힘든 덱들을 상대로 힘을 실어줍니다. 덕분에 이 덱도 비록 점유율은 낮지만 물밑에서 1티어 수준의 높은 승률을 거두고 있습니다.
죽메 사냥꾼은 알 카드들과 수리검포, 느조스의 피조물, 영혼노래꾼 움브라, 죽은 척하기 등의 죽메 활성화 카드들을 이용해 수많은 네루비안들과 데빌사우루스들을 필드에 깔아 승리합니다. 이 덱은 보기 힘든 편이고 승률 또한 낮지만, 이길 때는 매우 압도적입니다. 간신히 4티어에 비비는 데에 그치긴 했지만요. 큰 하수인들로 화려하게 필드를 뒤집는 플레이를 하고 싶은 사냥꾼 유저 분들에게는 거인 덱을 추천합니다.
이리 와라!라는 악명 높은 카드 덕에 코볼트 메타 초반에는 예능 덱 취급을 당했던 주문 사냥꾼은 이제 진짜 덱다운 덱이 되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리 와라!는 쓰지 않습니다. 또 다른 ‘내 덱에 하수인이 하나도 없다면’ 카드인 라크델라도 잘 쓰지 않구요. 대신 반샤라즈 콤보가 들어갑니다. 하수인 딱 두 개만 넣으면 4마나에 14/15 필드를 만들 수 있으니, 동료 야수 2마리 소환보다 아주 조금 더 좋은 편이죠? 비밀 카드들과 주문석도 채용되지만, 비밀 시너지 하수인들은 반샤라즈 콤보를 방해하기 때문에 쓰지 않습니다. 이런 폭발적인 플레이가 가능하긴 하지만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죠. 4티어 수준의 승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덱 대신 비밀 사냥꾼을 추천합니다. 단 하나의 강력한 플레이를 포기하는 대신 조금 더 코스트가 높지만 여러 종류의 플레이를 할 수 있기 때문이죠.
MrDollSteak 거인 사냥꾼 AAEBAR8EhwTFCPoOhtMCDdMByQSAB+EHlwjcCv4MuRHUEcsU3hbTzQLf0gIA MrDollSteak 비밀 사냥꾼 AAEBAR8IhwTJBPIF+Aj6Dp3MAobTArbqAgueAZcI7Qn+DPcN+LECxLQCxsIC3dIC39IC49ICAA== TopoPablo11 어그로 사냥꾼 AAEBAR8CxwOvBA6oArUDuwPyBesH/gz3DdsP1BH4sQLquwKOwwLXzQKL5QIA DannyDonuts 주문 사냥꾼 AAEBAR8EgAeoqwKFuAKG0wINjQGoArUDyQSXCNsJ/gzUEfixAt3SAt/SAuPSAuHjAgA= na0_Yattaze 죽메 사냥꾼 AAEBAR8E9Q37DsnCAobTAg2XCPoNxw/bD9QRja8CibQCq8IC2MICnM0C080Cq9ACi+ECAA==최근 밸런스 패치 이후 마법사는 점유율이 상당히 증가했습니다. 그 이유는 바로 알루네스 마법사 때문이죠. 다른 두 마법사 아키타입들은 현재 조금 고전 중입니다. 하지만 특정 메타 상황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알루네스 마법사는 거인 흑마법사와 빅 사제의 상승을 막을 수 있는 대항마입니다. 폭발의 룬과 변이 물약을 사용하여 거인 흑마법사의 나가 바다 마녀와 공허 군주를 쉽게 제압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단 제압이 성공하면, 그 후에는 딜카드로 상대를 마무리합니다. 알루네스 마법사는 또한 빅 사제의 부활을 마법 차단으로 막을 수 잇는데요. 그로 인해 마법사가 쉽게 사제를 제압할 수 있습니다. 알루네스 마법사는 다른 어그로 덱에게는 약합니다. 특히 어그로 성기사들에게 말이죠. 성기사의 특성상 필드 장악력이 우수하고 그걸 통해 이득 교환을 보고 무기도 가지고 있습니다. 아예 희망도 보이지 않게 말이죠.
리노 마법사는 흑마법사 사제 2강 체제에 버티질 못 하고 있습니다. 길고 반복적인 게임에서 승리하고 싶은 덱이라면 나가 바다 마녀 & 거인 폭발 턴을 버텨야하지만, 마법사는 그런 도구가 없습니다. 리노 마법사는 여전히 4 티어에 머무는 이유가 이 것입니다. 마나 치팅이 만연한 메타에서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리노 마법사는 여전히 알루네스 마법사를 제외한 어그로 덱들을 카운터치는데 좋은 선택 사항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어그로 주술사를 상대할 때 말이죠. 후반까지 가면 대체로 어그로 덱들은 잘 이기지만, 흑마법사나 사제들을 만나면 후반에 갈 수 없습니다.
무한 염구 마법사는 특정 메타를 저격하기 위한 확고한 덱입니다. 거인 흑마법사를 제외한 다른 흑마법사와 빅 사제에게 강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게임에서는 콤보 파츠를 찾기 위한 시간이 충분합니다. 거인 흑마법사가 편한 대치 구도는 아니지만 여전히 얼음 회오리 & 파멸의 예언자 콤보로 이길 방법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같은 이유로, 무한 염구 마법사는 성기사 덱들의 대항마가 될 수 있습니다. 필드장악력은 강하지만 즉발 딜카드가 적기 때문에 광역 빙결기에 취약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slizzle466 알루네스 템포 마법사 AAEBAf0EAvoOotMCDnGsAbsClQOWBewF9w3XtgLrugLZuwKHvQLBwQKYxAKP0wIA Bananaramic 비밀 템포 마법사 AAEBAf0EBqwBwAHmBOu6Atm7AqLTAgxxuwKVA6sElgXsBfcNuhbXtgKHvQLBwQKP0wIA Bananaramic 무한염구 마법사 AAEBAf0EBq4D7QW4CNYRmMQCudECDIoBwAGcAskDqwTLBOYE7QT4B/cN2sUCluQCAA== Bananaramic 리노 마법사 AAEBAf0EHk1xigHAAckDqwSWBe0FuQaKB+wH+wz3DYEOlQ/1D/wPjBTDFoUXgbIC6boC2LsCysECysMCmMQClscCm9MCluQCw+oCAAA=10.2 패치는 패치스와 징그러운 지하 벌레를 너프했는데요. 그로 인해 어그로 성기사가 주춤하고 신병 성기사가 떠올랐습니다. 우서는 지금 과거에 어그로 성기사 혼자 채우고 있던 1티어 자리를 다수의 아키타입으로 채워놨습니다.
신병 성기사는 다시 한 번 정상을 향해 올라가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도 승률이 가장 높고 현 메타의 강력한 덱을 상대로도 좋은 승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구간 별 메타에 잘 적응하는 장점을 가졌기에 신병 성기사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합니다. 메타의 흥하는 덱들을 저격하기 위한 다양한 테크 카드들도 가지고 있습니다. 신병 성기사는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덱을 이길 수 있습니다. 강력하고 지속적인 게임 플랜만 세우면 한동안 메타의 지배자가 될 수 있을 겁니다.
비밀 성기사 또한 많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무엇이든 가능하다옳을 덱에 추가하면서 컨트롤 덱과의 승부를 강화했네요. 전반적으로 게임 플랜은 신병 성기사의 그것과 비슷하므로 신병 성기사와 상성 분포가 비슷한 이유는 말 하지 않아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밀 성기사는 말리고스 드루이드를 상대로 더 잘 싸우는 모습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비밀 성기사가 신병 성기사보다 하수인 성장치가 더 크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밀 성기사는 신병 성기사보다 힘 자체는 약한 편이기 때문에 메타에서 전체적으로 높은 승률을 기대하는 방식이 아닌 특정 덱에게 무자비한 모습을 보여주는 방식을 선호합니다. 당연히 그걸 감안하더라도 레더를 그냥 찢고 올라갈 수 있긴합니다. 승률이 가장 높은 덱들 중 하나이니까요.
어그로 성기사는 여전히 너프에도 불구하고 강하게 자신의 입지를 지키고 있습니다. 성기사 아키타입 중에는 승률 3위를 기록하고 있고요. 밸런스 패치가 필드 복구력을 떨어뜨리긴 했나봅니다. 과거보다는 승률이 조금 내려갔거든요. 멀록 성기사는 지금 데이터를 논외로 하고 그냥 순전히 신병 성기사와 비밀 성기사의 하위호환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정 상황에서 그 둘보다 빛을 발하는 때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성기사 아키타입 중 점유율은 가장 높을 지라도 진짜 힘은 명성에 미치지 못 하는 것 같습니다. 비밀 성기사와 신병 성기사의 진가를 잘 모르는 선수들에게 과대평가 받은 것이 이유가 아닐까 싶습니다.
컨트롤 성기사는 그럴듯한 이유로 성기사 아키타입 꼴찌를 달리고 있습니다. 지금 메타의 컨트롤 덱들보다 힘이 딸리거든요. 상대적으로 초반 필드 유지력도 약하고, 코볼트 팩에서 쓸만한 카드를 받지 못해 적절한 게임 피니쉬기를 가지지도 못했습니다.
Chai 어그로 신병 성기사 AAEBAZ8FBPIF+g65wQK35wINpwX0BbEI6g/sD+0P2a4C/68CuMcC2ccC48sC+NICieYCAA== Banaramic 어그로 신병 성기사 AAEBAZ8FBKcF+g65wQKJ5gIN9AWxCOoP7A/tD4UQ2a4C/68CuMcC2ccC48sC+NICt+cCAA== Jonahrah 비밀 무가옳 성기사 AAEBAZ8FBIwB4AXYFLnBAg3IBKcF4wWnCLEIjA7qD+0PphXSFtmuAuPLAvjSAgA= Chai 비밀 성기사 AAEBAZ8FCIwB6AGnBZ4Q2BTZrgK5wQLZxwILngHIBLEIjA7qD+wP7Q+mFbjHAuPLAvjSAgA= Неясыть 어그로 신병 성기사 AAEBAZ8FBq8E+g6dFbnBAsrDAtblAgynBc8GrwexCOoP7Q/JFtmuAv+vArjHAuPLAvjSAgA= GetMeowth 어그로 멀록 성기사 AAEBAZ8FBOAF+g6EF7nBAg3bA6cF8gWnCLEI6g/tD9OqAtO8Ap3CArHCAuPLAvjSAgA= DocRowdy 컨트롤 성기사 AAEBAZ8FCPoGuQ3grALmrgK8vQK5wQKO0wLD6gIL+wHcA/QF9gf+DYEOm8IC3sQC38QCiMcC+NICAA==사제의 인기가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일단은 안두인이 야생전 점유율 1위라는 왕좌를 마지못해 포기한 것으로 보입니다. 밸런스 패치 이후 리노 사제의 숫자가 크게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제에게는 몇 개의 좋은 아키타입이 남아있습니다.
예상대로, 이제 야생전에서 가장 강한 아키타입은 빅 사제가 되었습니다. 많은 유저들이 이 덱에 부정적인 견지를 취하긴 하지만, 지난 달의 리포티 이후로 빅 사제의 점유율은 오히려 상승했습니다. 모든 등급에 걸쳐 세 번째로 자주 플레이되는 아키타입으로 랭크되기도 했고요. 빅 사제의 덱리스트는 크게 변하지 않았는데요, 광역기로 용숨결 물약보다 빛폭탄과 영혼의 절규가 선호됩니다. 거인 덱들을 고려한 선택이죠. 전반적으로, 이 덱이 가지고 있는 폭발적인 플레이의 가능성과 게임 후반에 위협적인 하수인을 안정적으로 꾸준히 전개할 수 있는 능력 덕분에 빅 사제는 앞으로도 야생전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보입니다.
천정내열 사제는 야생전에서 중간 정도의 티어에 위치한, 합리적인 선택지로 보입니다. 바닐라 천정내열 빌드와 용 천정내열 빌드, 둘 모두 야생전에서 유효합니다. 전자는 추가적인 폭발력을 더해 주는 반면, 후자는 황혼파괴자 덕에 어그로 덱을 상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천정내열 사제가 매력적인 점은 거인 흑마법사와의 유리한 상성입니다. 두 빌드 모두 단일 하수인 제압기가 적은 덱을 쉽고 빠르게 이길 수 있거든요. 오른쪽이 붙어 주고 매칭이 잘 된다면, 천정내열 사제로 야생전 등급을 효율적으로 올릴 수 있을 겁니다.
야생전의 용 사제들은 정규전에서 잘 통하는 전략을 가져와 원한 맺힌 소환사 패키지라는 밸류가 높은 하수인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스윙 턴이 다른 덱들에 비해 늦은 편이기 때문에 정규전에서보다 효과적이지 않은 듯하지만, 브란 브론즈비어드를 이용해 전투의 함성을 두 번 발동시키는 시너지를 내기도 하고, 검은날개 타락자를 이용해 덱에 부족한 제압기를 채우기도 합니다. 불행히도, 상대에게 지속적인 압박을 가하는 용 사제의 전략은 대부분의 메타 덱들에 잘 통하지 않습니다. 흔히 볼 수 있는 덱들 중 용 사제에게 유리한 매치업은 말리고스 드루이드밖엔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리노 사제가 있습니다. 속박된 라자가 너프당하면서, 리노 사제는 당연하게도 유저층에게 외면당했습니다. 이건 놀랍지 않지만, 정말 놀라운 점은 이 아키타입이 얼마나 곤두박질쳤느냐입니다. 이전에는 야생전 전체를 통틀어 가장 흔한 덱이었던 리노 사제는 이제 사제 아키타입 중 점유율 꼴찌입니다. 지금도 한 턴에 폭딜을 넣을 수 있는 덱이지만, 0마나 영웅 능력을 잃은 후로는 승리를 따내기가 어려워졌습니다. 이러한 추락을 위로해줄 만한 사실이라면 거인 흑마법사를 상대하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점 정도겠네요. 거인 흑마법사는 리노 사제의 몇 안 되는 유리한 매치업 중 하나입니다.
ConcernedMom 빅 사제 AAEBAa0GCPYCpQnTCpIPqKsChbgCt7sCws4CC9cK+hG3F6GsAtHBAuXMAubMArTOAvDPAujQAuPpAgA= Control 천정내열 사제 AAEBAa0GAvYHvsgCDu0B+ALlBKUJ0QrSCvIM2Q3+DY8PtbsC8LsC0cEC2MECAA== Haze 용 천정내열 사제 AAEBAa0GAqUJtbsCDvgC5QTRCvIMjw/uEYkUgrUCursC8LsC0cEC2MECy+YC/OoCAA== 표준 원한 맺힌 소환사 사제 AAEBAa0GBPoOhRfhvwLQ5wINCPIM7hHpEokUpBSCtQK6uwLwuwKZyALL5gL86gLX6wIA Sipiwi94 리노 사제 AAEBAa0GHgmKAfsBlwKcAqEE5QTtBbkG9gf4B6UJ0wrWCtcK8gz7DJIP1hH3E8MWoawCg7sCtbsC2LsCw8EC0cEC8M8C6NACkNMCAAA=상황이 발리라와 마이에브에겐 계속 좋지 않은 쪽으로 흐르는 것 같습니다. 최근에 도적이 약간의 상승세를 보여줬지만, 그래도 모든 아키타입이 4티어에 머물러 있는 유일한 직업일 뿐입니다. Bananaramic과 Hel처럼 와일드 오픈에서 도적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유저들 덕분에 약간의 희망이 보이긴 하지만, 상황은 여전히 절망적입니다.
템포 도적은 밸런스 패치 후 아예 사라져 버렸습니다. 패치스, 해골마, 징그러운 지하벌레의 너프로 인해 더이상 이 아키타입을 실험할 의지조차 보이질 않습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이 소수의 유저들은 이 덱으로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Bananaramic가 지역전에서 승리한 빌드는 밸런스 패치 이전의 빌드와 꽤 비슷합니다. 이 리스트가 인기를 타면 템포 도적이 얼왕기 시절의 영광을 다시 재현하는 데 도움이 될 지도 모르죠.
왕의 파멸 도적이 래더에서 가장 많이 플레이되는 도적 아키타입이 됐습니다. 정규전에서의 덱과 비슷한 형식으로 플레이됩니다. 무기를 버프시키고 탈진 운영으로 느린 덱들을 참교육 시키는 운영이죠. 왕파 도적은 비교적 느린 사제나 드루이드 덱들에게 강하면서 흑마법사와의 상성마저 나쁘지 않은 편입니다. 그러나 성기사(그리고 다른 어그로 매치업 대부분) 에서는 패치스와 징그러운 지하벌레가 너프되었는데도 불구하고 끔찍한 상성을 보입니다. 그러므로 왕파 도적은 컨트롤 덱 카운터로밖에 남을 수 없습니다.
미라클 도적은 컨트롤 덱 킬러였지만, 왕파 도적에게 밀려 사라져 버렸습니다. 어그로 덱에게는 약하고 컨트롤 덱에게는 강하다는 점에서 미라클 도적은 왕파 도적과 굉장히 닮았습니다. 미라클 도적의 매치업이 아주 조금 덜 극단적인 편인데요, 느린 덱들을 상대로는 왕파 도적보다 약하며, 어그로 덱들을 상대로는 왕파 도적보다는 이길 확률이 좀 더 높습니다. 왕파 도적보다 미라클 도적이 빛을 발하는 순간은 거인 흑마법사와의 매치업입니다. 퀘스트 중인 모험가, 묘실 도굴꾼, 팔도레이 순찰자는 거흑이라는 깡패가 압박하기 전에 상대를 죽여버릴 수 있는 좋은 카드입니다.
Bananaramic 템포 도적 AAEBAaIHCLICrwT1DfoOrxCRvALrwgLb4wILtAGMAs0DqAXUBbkGiAfdCPsPkBCStgIA Hel 왕의 파멸 도적 AAEBAaIHBKgIsc4CgNMCu+8CDbQBxAHtAssDzQOIB/gHhgmvEKnNAuXRAtvjAt/jAgA= Jonahrah 미라클 도적 AAEBAaIHBrICrwS5BvW7ApG8AtvjAgy0AYwCzQObBYgHpAfeB90IhgnEFpK2AtzRAgA=어그로 주술사는 지금의 너프 후 메타에서 다시 태어난 듯합니다. 징그러운 지하벌레나 패치스 등의 어그로 카드들이 너프된 마당에, 어그로 덱이 더 강해졌다고 직관적으로 말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너프들 덕분에 주술사는 번(Burn) 게임 플랜을 택해 메타의 욕심 많은, 수동적인 덱들을 제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어그로 주술사는 성기사나 어그로 드루이드 등의 게임 초반 위주의 덱들에는 여전히 힘들어 보입니다. 현재 리스트는 고블린 대 노움-대 마상시합 때의 어그로 주술사를 연상시키는 듯합니다. 둠해머, 대지의 무기, 회전하는 자동제압로봇이 다시 각광받고 있습니다. 만약 빅 사제나 거인 덱들을 참교육 시키려면, 어그로 주술사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컨트롤 주술사, 멀록 주술사, 그리고 토큰 주술사는 미미한 점유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파워랭킹에는 보여주기가 아직 부족합니다. 이들의 승률은 대략 4티어 정도인데요, 딱 알맞아 보이네요. 컨트롤 주술사는 필드를 빠르게 장악하는 어그로 덱들을 상대로 좋은 도구들을 보유하고 있긴 하지만, 지금 메타에서 카드들을 조합하고 시너지를 내는 속도가 거인 덱들이나 빅 사제같은 덱들에게 대항하기엔 너무 느립니다. 멀록 주술사는 미친 스노우볼 잠재력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다른 필드 중심의 어그로 덱(긴급소집을 쓰는 성기사 등)들과는 경쟁 상대조차 되지 못합니다. 토큰 주술사도 마찬가지로 성기사와의 상성이 나쁘고, 컨트롤 덱을 상대로는 한번 필드가 밀리고 나면 다시 장악하는 능력이 부족합니다.
Jonahrah 어그로 주술사 AAEBAaoIAoQXi+UCDu4B7wHgAvkD/wXgBvAH1Q/WD7IUyhb3qgKHvALRvAIA Control 어그로 주술사 AAEBAaoIBP8F4AaEF5G8Ag3uAe8B4AL5A9QF8AfVD9YPshTKFveqAoe8AtG8AgA= RenoJackson 큐브 컨트롤 주술사 AAEBAaoICPYCuQ2CDtYR4KwCoLYChbgCprwCC5QD9QSyBvUIkQ7SE/a9Av7NAsPSAovhAvPnAgA= GetMeowth 멀록 주술사 AAEBAaoIBOAF+g6EF5vEAg3bA/AHpwiTCbIUyha/F+O7Aoe8AtG8ApHBAp3CArHCAgA= RenoJackson 진화 주술사 AAEBAaoIAtIT688CDvUE/gW8FPqqAva9Avm/AsfBAt/EAv7NAo3OAvvTAvPnAvXnAt/pAgA=최근에 이루어진 밸런스 패치로 인해서, 최소 점유율 면에서는 흑마법사가 명실상부 야생의 왕이 되었습니다. 다양한 아키타입의 폭넓은 성공적인 모습을 본다면 이러한 결과가 그리 놀랍지는 않습니다.
저희의 마지막 리포트 이후, 큐브 흑마법사의 점유율은 약간 감소했으며, 거인 흑마법사가 흑마법사 왕국의 열쇠 자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흑마법사는 언제나 그럭저럭 거인들을 잘 이용해오다가 나가 바다 마녀 패치와 코볼트와 지하미궁에서 받은 새로운 카드들로 아예 강력한 덱으로 탈바꿈해버렸습니다. 거인 덱의 능력은 정말 어마무시한 필드를 턴 5(아니면 동전+턴4)에 구성 할 수 있다는 점이며 이런 플레이로 필드점령에 우위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이 덱은 많은 실험과 수정을 지난 몇 주동안 병행해 왔고, 그 결과 레더뿐만 아니라 Wild Open에서도 성공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개된 리스트는 Jonahrah의 리스트며, 이 덱으로 지역대회 결승전까지 진출할 수 있었습니다. 미러전을 고려해 파멸의 예언자와 암흑불길을 사용합니다.
거인 흑마법사가 거의 모든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건 사실이지만, 레더에서 거인 덱 만큼은 아니지만 큐브 흑마법사 또한 아직 그대로 쎕니다. 래더에서 이 두가지 덱이 절대적인 덱이 될 수 없도록 많은 덱들이 테크카드를 통해 이 두 덱을 저격중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리포트 이후 상당히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큐브 흑마법사 덱은 여전히 수정되고 있으며, 저희가 올린 리스트는 Roffle이 사용하는 압도적인 힘을 사용하는 리스트 입니다. 그리고 이 카드는 점점 더 공통으로 사용되는 카드로 사용되어질 전망입니다.
위니 흑마법사는 점유율면에서 많이 감소한 추세입니다. 징그러운 지하벌레와 패치스의 너프가 영향이 컸던 모양입니다. 여러 방면으로 이 덱을 빌드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덱이 성공하고 높은 랭크에서 플레이 되기까지는 아주 많은 실험이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이번주 소개해드릴 리스트는 5급부터 인상적인 승률을 보인 색다른 Cooky의 리스트 입니다. 이 덱은 초반에 엄청난 템포 스윙을 갖기위해 핏빛꽃을 사용하는 덱입니다. 카라 카잠, 비전 폭군, 갈고리 약탈자와 좋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리노 흑마법사는 한때는 등급전 주력 덱이었지만, 현재 메타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특히나 큐브 흑마법사나 거인 흑마법사 덱을 상대로 상성이 안좋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습니다. 이 두덱을 상대하기 위해서는 수석땜장이 오버스파크와 로데브 같은 특정한 카드가 필요합니다. 소개해드릴 리스트는 IndianNinja가 전설등급을 달성한 덱으로 상성이 안좋은 매치업에도 불구하고, 래더에서 아직까진 경쟁력있는 선택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그 이유는 메타의 어그로 덱들을 카운터 칠 수 있는 능력 때문이죠. SighTed가 흥미로운 리노흑마법사 리스트를 두장의 코볼트 사서를 채택하며 와일드 오픈에 가져왔습니다. 흥미로운 선택으로 보입니다. 이 흑마법사 초반 카드는 매우 강력하긴 합니다. SighTed는 두 장을 꽉꽉 채워 넣었고요.
Jonahrah 거인 흑마법사 AAEBAf0GBtMBtgf6DsIPrRCX0wIMigGTAaMB4QfcCo4OuRHeFufLAvLQAojSAujnAgA= Roffle 큐브 흑마법사 AAEBAf0GCPcEuQ36DsIP1hHgrAKX0wKd4gILzga2B44OrRDnywLy0AL40AKI0gKL4QL85QLo5wIA Cooky 위니 흑마법사 AAEBAf0GAA8XMPcE8gXOBsII9gjBD/ARvLYCkMcC8dAC8tAC/dAC29MCAA== IndianNinja 리노 흑마법사 AAEBAf0GHjCKAboE8gXbBrYHxAjMCLkNgQ6ODvoOwg/1D60Q1hH9EcMWhRfYuwLdvALfxALTxQLnywKuzQL3zQLy0AKX0wLo5wLD6gIAAA== SighTed 리노 흑마법사 AAEBAf0GHIoBkwGTBK8E9wTOBtsGtgeNCMwIgQ6ODvUPkBCtENYR/RHDFs8W4KwC2LsC3bwC58sC980C8dACl9MC2OcC6OcCAfLQAgA=해적 전사가 모 아니면 도라는 마음으로 그냥 싸움질을 하고 다니고 있습니다. 여전히 빅 사제, 거인 흑마법사나 비밀 마법사를 상대로는 좋아보이지만, 다른 어그로 덱들을 상대로는 힘들어 보입니다. 몇몇 유저들이 아직 지난 향수를 못 잊고 컨트롤 전사를 플레이하는 모양입니다. 이 덱의 게임플랜인 상대방의 위협이 되는 하수인들을 제거하고 빠르게 탈진전으로 돌입하는 것인데, 이 게임플랜은 현재 메타에서 모든 덱들이 전사가 감당하기에는 너무 많은 위협이 되는 하수인들을 너무나 쉽고 빠르게 전개하기 때문에 먹혀들지 않습니다.
RenoJackson 해적 전사 AAEBAQcGsAKvBPIFhBfRkQKRvAIMHP8DjgWoBdQF7gbnB+8HjQ77D4KwAoiwAgA= Awedragon 컨트롤 전사 AAEBAQcEjQ6wFeCsAqLHAg1LogSRBv8H+wz+DYEO+BGCrQLGwwLfxALMzQLP5wIA어썸
야생의 생태계는 어썸허구만
갓생
덱 정체된 정규보다 직업 분포도가 다양한 야생 합시다
갓생
저기서도 비법이랑 흑마가 좀 거지같긴 하지만
실력 말리술
말리술 장인들 몇명 계신데 왜 말리술이 없지...
ㅁㅋ
말리드루 만들었는데 손패관리 개빡센데 이악물고 키카드찾는 실력덱이었네..
Arcana
ㄴ ㅇㅇ 말리드루 진짜 파일럿 많이 탐 원래 원턴킬 덱들이 다 비숫하게 손 많이 타드만
불편
야생도 덱리스트도 같이 올려주면 안되나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