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2-25
2017-12-25
Lue - 큐브 흑마법사 공략
안녕하세요 Lue입니다.
오늘 소개드릴 덱은 코볼트 확장팩 출시 이후 새롭게 등장한 1티어 덱 큐브 흑마법사(이하 큐브흑마)입니다. Duelist선수가 처음 덱을 개발하여 1위를 찍은 후 Zalae선수가 발전시킨 덱으로, 처음 볼 때는 예능 덱같은 느낌이 있지만 정말 강한 덱입니다. 많은 선수들이 현재 가장 강한 덱을 뽑으라면 라자쿠스 사제, 큐브 흑마법사를 꼽을 정도로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큐브 흑마법사는 따악 덱리스트 메뉴에서 흑마법사를 고르신 후 ‘상자’, ‘육식상자’, ‘OTK’ 등으로 검색하면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보통 Cubelock이라 부릅니다.
큐브흑마를 돌리면서 손님전사 덱과 유사한 덱이라고 느껴집니다. 매치업마다 필요한 카드들이 고정되어 있고, 난이도가 매우 높으며 어그로 카운터 성향을 띠는 콤보+컨트롤 덱이라는 점에서 공통 분모를 가집니다. 어그로/미드레인지 덱은 손님(공허 군주)로 이기고, 컨트롤 덱은 워송+광전사(큐브+둠가드)콤보로 이기는 식입니다. 같은 카드라도 매치업에 따라 용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깊이 생각하고 플레이하지 않으면 실수하기 쉬운 덱입니다. 기본적으로 난이도가 매우 높은 덱이며 특히 큐브흑마 미러전이 정말 어렵습니다. 필드에 공허 군주 두 마리만 깔려있어도 뇌정지가 와서 뭘 해야할지 모르는 플레이이어들이 많습니다. 전설 최상위권 유저조차 완벽하게 플레이하기 힘든 덱이지만 덱 파워가 강해서 실수를 많이해도 고랭크를 갈 수 있는 좋은 덱입니다.
움브라는 주문파괴자로 대체하면 됩니다. 실제로 현재 메타에서 큐브흑마가 득세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선수들이 움브라 대신 주문파괴자를 넣고 돌리고 있으며 움브라에 대한 평가도 점점 더 내려가는 편입니다. 탈다람은 좋은 카드임에는 분명하나 필수 카드라는 느낌은 아닙니다. 덱을 좀 더 강력하게 해주는 양념같은 느낌이지, 없으면 덱을 굴릴 수 없을 정도의 중요도를 가지지는 않습니다. 주문파괴자나 단단한 딱정벌레 정도로 대체해주시면 문제 없습니다.
하지만 만아리의 해골과 흑마 죽기는 없으면 덱이 돌아가지 않습니다. 비싼 카드중에 필수 카드라고 할만한 카드는 만아리의 해골, 흑마 죽기, 육식 보물상자, 공허 군주정도 있겠네요.
수동적인 카드가 많은 덱이기 때문에 손패가 말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둠가드가 손패를 말리게 하는 주범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손패 2장을 버리면서까지 둠가드를 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되는 순간이 많습니다. 큐브흑마를 굴릴 때 가장 어려운 부분중 하나이기도 하고요. 최근에 큐브흑마로 1위를 찍은 일본 선수 posesi의 플레이를 관전해보니 둠가드를 과감하게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손패에 흑마 죽기같은 절대 날라가면 안되는 키카드가 있더라도 그냥 둠가드를 냅니다. 게임이 말렸을 때, 지금 둠가드라도 안내면 절대 못 이길 것 같은 상황이 자주 그려집니다. 이럴 때는 도박하는 수밖에 없어요. 손패가 말렸다는 뜻은, 내 핸드에 지금 당장 쓸 수 없는 카드가 많다는 뜻입니다. 이럴 경우 손패 2장 날리는 것이 엄청나게 손해가 아닌 경우가 많아요. 경험적으로 보면, 둠가드를 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되는 순간이 왔을 때, 일반적으로 둠가드를 내는 것이 좋더라고요. 둠가드 스텟이 좋은 편이고 사제 같은 경우 죽음을 제외하고는 제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땅치 않습니다. 둠가드가 한 턴이라도 살면 육식 보물상자+죽음의 서약 콤보나 탈다람을 통해 게임을 터뜨리는 상황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도박수를 던져 게임을 캐리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사실 이건 정답이 없습니다. 많이 플레이해보고 고민해보는 수밖에 없어요.
두 가지의 승리 플랜이 존재합니다. 산악 거인 혹은 둠가드 콤보. 컨트롤 매치에서 산악 거인 2장, 둠가드 2장을 제외한 나머지 26장은 산악 거인과 둠가드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해주는 도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상대방 패가 잘 풀리지 않았을 때 공허 군주로 지속딜을 넣어서 이기는 경우도 종종 있긴한데, 일반적으로 산악 거인, 둠가드 콤보를 승리 플랜으로 잡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1순위
산악 거인, 지배당한 졸개, 만아리의 해골
큐브흑마에서 키카드 역할을 하는 3장입니다. 산악 거인은 콤보없이 단일 카드로 사용했을 때에도 효율이 좋은 카드입니다. 지배당한 졸개와 만아리의 해골은 둠가드로 손패 2장을 태우지 않고 필드에 전개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조건부 1.
육식 보물상자, 어둠의 서약
->지배당한 졸개와 만아리의 해골이 멀리건에서 잡혔을 때
필드에 전개된 둠가드에 육식 보물상자+어둠의 서약 콤보가 사용된다면 게임을 엄청나게 유리하게 이끌어갈 수 있습니다. 리턴이 높은 콤보임에는 분명하지만 필드에 둠가드가 전개되어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으므로, 지배당한 졸개나 만아리의 해골이 멀리건에서 잡혔을 때 함께 들고 가줍시다.
조건부 2.
얼굴없는 배후자
->산악 거인이 멀리건에서 잡혔을 때
컨트롤 매치에서 얼굴 없는 배후자는 굉장히 유동적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얼굴 없는 배후자 자체가 조건이 많이 붙는 카드입니다. 5코스트 마나에 딱 맞게 사용되는 경우는 4턴 산악 거인, 5턴 얼굴 없는 배후자 정도밖에 없기에 산악 거인이 잡혔을 때만 멀리건에서 잡고 가줍니다.
조건부 3.
주문파괴자
->상대가 흑마법사일 때
큐브흑마의 카운터 카드입니다. 상대방이 흑마법사일 경우 무조건 멀리건에서 잡고 가주도록 합시다.
컨트롤 매치의 경우, 3턴까지 영능 누르다가 4턴에 동전-졸개 혹은 동전-만아리의 해골 같은 플레이가 강력하게 들어가지만, 어그로 매치에서 3턴을 쉬면 맞아 죽습니다. 결론만 이야기하자면 멀리건에서 모독을 찾으세요. 어그로 매치에서 그 어떤 카드보다도 모독이 중요합니다.
1순위
모독, 혼합물 전문가, 단단한 딱정벌레(포함된 덱을 돌릴 경우), 지배당한 졸개
혼합물 전문가와 단단한 딱정벌레는 필드 장악의 의미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시간을 벌어주는 카드입니다. 큐브흑마가 어그로 덱을 상대할 때 공허 군주만 안전하게 낼 수 있다면 사실상 이긴 게임이기 때문에 이처럼 시간을 벌어주는 카드가 의미있게 작용합니다. 모독은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로 사기적인 효율을 보입니다. 어그로 덱 입장에서 현실적으로 매 턴 모독각을 의식하면서 플레이하기가 힘듭니다.
지배당한 졸개는 매치업에 상관없이 멀리건에서 잡아줍시다. 빅 사제에서 반즈같은 역할입니다. 5턴에 낸 지배당한 졸개가 공허 군주를 불러온다면 그대로 게임이 끝난다고 보면되고, 둠가드를 불러와도 그리 나쁘지 않습니다.
조건부 1.
죽음의 고리, 코볼트 사서
->모독이 멀리건에서 잡혔을 때
죽음의 고리와 코볼트 사서만 가지고 어그로를 막기엔 부족합니다. 하지만 두 카드 모두 모독각을 예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카드이므로 멀리건에서 모독이 잡혔을 때 함께 잡고 가줍니다.
조건부 2.
만아리의 해골
->초반을 버틸 수 있는 카드(모독, 혼합물 전문가)가 멀리건에서 잡혔을 때+상대가 템포도적일 때
만아리의 해골이 좋은 카드인 것은 확실하지만, 만아리의 해골만 가지고 어그로덱을 상대하기에는 너무 느립니다. 5턴에 장착한 만아리의 해골이 공허 군주를 불러온다는 보장도 없고요. 지배당한 졸개와는 느낌이 다른 게, 지배당한 졸개는 내 덱에 있는 악마를 소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거의 확실하게 악마를 소환해주지만 만아리의 해골은 내 핸드의 악마를 소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손에 악마가 없을 경우 그냥 깡통 무기가 되어버립니다. 그렇다고 공허 군주와 함께 멀리건에서 잡고 가자니 손패가 지나치게 무겁고요. 그렇기 때문에 모독, 혼합물 전문가 같이 초반을 버틸 수 있는 카드가 손패에 잡혔을 때만 만아리의 해골을 잡고 가줍니다.
하지만 상대가 템포도적일 경우 만아리의 해골을 멀리건에서 잡고가줍니다. 템포도적은 상대방 필드를 지우는데 특화된 덱이지, 공격적인 필드를 만드는데 특화된 덱이 아니므로 만아리의 해골을 낄만한 시간적인 여유가 충분합니다.
지옥의 불길, 하급 자수정 주문석
예전에 거인흑마 덱을 플레이할 때, 어그로 덱 상대로 지불을 잡고 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제는 상황이 달라진 것 같습니다. 중요도 측면에서 모독, 혼합물 전문가에게 밀리고, 현 메타에서 가장 일반적인 어그로덱인 어그로 성기사가 천상의 보호막, 시린빛 예언자(3코 생명력2버프멀록)를 사용하기 때문에 지불에 어느 정도 면역력이 생겼기 때문입니다.
하급 자수정 주문석은 4마나에 쓰기에는 효율이 그다지 좋지 않습니다. 4마나에 딱 쓰는 카드라기 보다는 필드를 먹은 상태에서 본체 힐을위해 쓴다는 느낌이 더 강하므로 멀리건에서 절대 잡고 가지 않습니다.
Duelist라는 일본 선수가 처음 만들고 유명 스트리머인 Dog 선수가 NA 1위를 달성한 덱입니다.
Zalae 선수가 만들고 posesi 선수가 Asia 1위를 달성한 덱입니다.
Duelist 선수의 덱은 어그로를 확실하게 막는데 신경을 썼다면, Zalae 선수의 덱은 산악 거인+얼굴없는 배후자를 추가해서 어그로, 컨트롤 덱을 모두 잡으려는 덱입니다. 일반적으로 메타가 흐르면 점점 더 욕심 덱으로 진화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Zalae 선수의 덱이 정석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ssss
진짜 덱파워가 강력한데 너무 어렵다는 느낌을 많이 받은 덱이었습니다. 저는 이 덱이 진퇴술사가 거의 멸망직전까지 간게 더 큰 성공요인이라고 생각되네요.
ssss
근데 도적의 경우는 멀리건을 어떻게 집고 가시나요? 보통 템포로 생각하고 어그로 대처위주로 집고 가는게 맞다고 생각하는데 핸파도적의 경우는 어떻게 상대하시는지 궁금하네요
ㅇㅅㅇ
와 진짜 공략 자세히쓰셨네
노답3 형제
탈다람 뭐로 대체하죠? ㅠㅠ
궂이
탈다람이랑 배후자는 방어도주는 벌레로 해도 괜찮을꺼같아요
5급주차충
지불가져갈만한대요??
ㅇㅇ
쓰랄님 그맂읍니디 ㅠㅠ
123
좋은글써주셔서 매번감사합니다
우리엄마히오스킹
오홍홍 이런 공략 좋아영
ㅂ
잘 읽었습니다 좋은글 감사해요
ㅁㅋㄴ
모독 계산실력과 움브라,상자 설계도 할줄알아야하고 손패빨 많이타는덱이라 패꼬이면 게임내내 처맞다가 무력하게 터질떄가 많음
ㅋㅇ
이 듣보는뭐지ㅋ
ㅇㅇ
이덱 너무어려움 흐. 위에 듣보놈은 왜 시비질이여
guest
손님님 그립습니다
ㅇㅇ
박스흑 맘붐임 ㅋㅋ
chamele
생각보단 쉬움 츄라이 하실분들은 쫄지마시길~ 문제를 빠르게 많이 풀어야하는 덱이지 어려운 문제를 푸는덱은 아니라는 느낌?ㅋㅋ 손놈이랑 엇비슷한듯
chamele
사실 움브라 들어가면 좀 더 어려워질것 같긴한데 난 움브라 안만들었으니 뭐
GG
12시 한테 당하고 만들었다가 너무 어려워서 승률 안나오는덱 ... 어그로한테 명치 터지고 사제 상대로는 제압기에 필도 못잡아서 지던 그냥 컨흑으로 어그로 잡고 5급 박제 ...
qwer
ss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