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2-18
2017-12-18
Fire - 위니 흑마법사 공략
안녕하세요 팀오버로드의 fire입니다.
확장팩 발매 이후 위니흑마에게 좋은 카드가 많이 나왔습니다. 위니흑마로 고등수를 찍은 플레이어들이 증가했습니다. 위니흑마가 얼왕기때에 비해 승률이 증가한 이유, 위니흑마의 장단점, 멀리건 및 운영방법에 대해 써보려고 합니다.
1. 징그러운 지하 벌레
거의 모든 어그로 덱에 사용되는 사기 카드입니다. 요즘 이 카드를 효율적으로 채용하기 위해서 직업별로 엘프 음악가, 신의 은총, 알루네스 같은 드로우 카드를 어느정도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타 직업 드로우 카드보다 흑마법사는 말체자르의 임프, 코볼트 사서, 영웅 능력의 드로우 효율이 훨씬 더 좋기 때문에 징그러운 지하벌레 파워를 내기 좋은 덱이라고 생각합니다.
2. 코볼트 사서
위니 흑마법사, 컨트롤 흑마법사를 가리지 않고 모든 흑마법사 덱에 채용되는 좋은 카드입니다. 기존 위니 흑마법사의 패꼬임을 완화해주는 카드입니다.
3. 야비한 소악마
2코스트 스탯에 24도발 효과와 악마라는 종족값도 붙어있어서 기존 위니흑마의 약한 필드싸움을 많이 완화시켜주는 카드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혈폭풍 물약, 악마의 불꽃과 시너지가 매우 좋습니다. 위니 흑마법사의 경우 다른 어그로 덱보다 고코스트 카드를 월등히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초반 필드상황만 불리하지 않게 이끌 수만 있으면 승리가 보장되는 덱입니다. 그러한 점에서 초반 필드유지에 도움이 되는 야비한 소악마가 상당히 좋은 카드입니다.
1. 플레이 시간이 짧다.
모든 어그로 덱에 해당되는 사항입니다. 컨트롤 덱이 한판 할 시간에 두 게임, 세 게임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빠른 시간에 랭크 등수를 올릴 수 있습니다.
2. 사제, 컨트롤 덱들과의 상성이 좋다.
현재 사제는 정신자극 너프 전 궁극의 역병을 사용하던 비취 드루이드 만큼 강력하다고 생각합니다. 용 사제, 빅 사제, 빅 용 사제, 라자쿠스 사제, 용자쿠스 사제 등 다양한 종류의 사제 덱들이 고랭크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종류의 사제 덱들 상대로 상성상 유리하다고 생각되는 얼마없는 덱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컨트롤 마법사, 소집 전사, 컨트롤 흑마법사 등 많은 컨트롤 덱를 상대할 때 상성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3. 난이도가 어렵지 않다.
멀리건 하는 방법만 어느정도 알면, 난이도가 어렵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1. 패말림이 심하다.
내 핸드를 태워버리는 둠가드, 10코스트짜리 죽기 그리고 혈폭풍 물약과 악마의 불꽃 같은 상황을 많이 타고 수동적인 카드들을 많이 사용하는 덱이기에 패꼬임이 다소 심합니다.
2. 어그로 매치에 약한 모습을 보인다.
어그로 매치는 대부분 초반 이득 교환을 통해 스노우볼이 굴러가서 게임이 끝나거나, 한번에 필드 템포를 잡을 수 있는 카드를 통해 게임을 역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초반 이득 교환에 도움이 되는 카드는 집결의 검, Si-7요원 정도가 있고, 한번에 필드 템포를 잡을 수 있는 카드는 살아있는마나, 긴급소집정도가 있습니다. 이러한 카드들이 어그로 매치에서 키카드 역할을 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하지만 위니 흑마법사는 이러한 역할을 하는 카드가 존재하지 않기에 어그로 매치에서 약한 모습을 보입니다.
흑마법사, 드루이드, 도적은 어그로라고 생각하고 멀리건을 구상하는게 승률이 높게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컨트롤 덱에 좋게 멀리건을 정하고 어그로 덱을 만날 경우 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떄문입니다. 반대로 어그로 덱에 좋게 멀리건을 정했을 때 컨트롤 덱을 만났을 경우, 딜압박이 조금 부족할 수 있지만 게임에 큰 영향이 없습니다.
실제로 비취 드루이드, 미라클 도적, 컨트롤 흑마법사 상대로도 멀리건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1순위
공허 방랑자, 말체자르 임프, 화염 임프, 코볼트 사서, 야비한 소악마
조건부 1. 남쪽 바다 선장
남쪽 바다 선장은 33/22의 준수한 스탯을 가지고 있으며 1, 2마나 플레이가 정해져 있으면, 확정적인 3마나 하수인이라서 들고갑니다.
선공 : 1, 2마나가 다 확정이 된 아주 기분 좋은 상황이라면 들고갈만 합니다.
후공 : 1마나를 들고있는 상황에서 1코스트, 동전 3코스트, 3코스트 순서로 게임 플랜을 짜볼 수 있습니다.
조건부 2. 혈폭풍 물약
악마에게만 적용되는 +3/3스탯을 바를 수만 있다면, 매우 파괴력 있는 카드입니다.
선공 : 1코스트 하수인과 야비한 소악마가 같이 잡힌 상황이라면 들고갈만 합니다.
후공 : 말체자르의 임프나 공허 방랑자와 같이 잡힌다면 들고갈만 합니다.
조건부 3. 늑대 우두머리
늑대 우두머리의 1공격력 부여가 어그로 미러전에서 유의미하게 작용할 때가 많습니다. 공허 방랑자/말체자르 임프로 파도술사 교환, 사서와 소악마로 마나 지룡, 웅덩이 사냥꾼과의 교환 등등
물론 1코스트 하수인 플레이를 전제로 들고가는 카드입니다.
선공 : 1마나가 갖추어진 상황이라면 들고갈만 합니다.
후공 : 야비한 소악마랑 같이 나오면 고려해볼만 합니다.
늑대 우두머리는 취향적 카드입니다. 요즘 악마의 불꽃이 많이 빠지고 있기 때문에 그 자리에 보통 사용합니다.
멀리건은 초반에 상대 하수인이 무엇이 나올지를 예측하고 플레이하면 많이 도움이 됩니다. 선공에서 1마나를 내었을 시 버프하면서 이득 교환하면 후공 입장에서 대처하기 어렵기에 선공이 유리합니다.
사제를 만날 가능성이 그 외에 컨트롤 덱 모두를 만나는 가능성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사제를 상대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현 메타에서 유일하게 어그로 덱이 없는 직업군입니다. 어느정도 과감하게 멀리건을 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1순위
화염 임프, 코볼트 사서, 말체자르 임프, 야비한 소악마
사제 상대로는 공허 방랑자, 반딧불 정령, 늑대 우두머리 등 필드 유지력을 높여주는 카드를 고르기보다는 상대방을 빠르게 압박할 수 있는 카드를 골라주는 것이 좋습니다.
조건부 1. 혈폭풍 물약
딜 템포를 빠르게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사제 상대로 정말 강력한 카드입니다.
선공 : 화염 임프, 야비한 소악마, 말체자르 임프, 공허 방랑자, 혈폭풍 물약 이렇게 1코 악마, (1코 or 2코)악마, 물약 이렇게 잡히면 들고가 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외로 이런 상황에서는 공허 방랑자도 1코에 내는 악마가 잘렸을 때를 대비해서 3마나에 확정적으로 바르기 위해 들고가주는 것도 좋습니다.
후공 : 1코 악마가 잡히면 들고갑니다.
조건부 2. 수정술사
수정술사를 들고가는 상황은 매우 드뭅니다. 하지만 사제를 상대할 때 필드 유지력을 높이면서 빠르게 본체 압박까지 줄 수 있는 카드이기 때문에 멀리건에서 잡고가기도 합니다.
선공 : 1코스트 악마, 소악마가 잡혔을 때 들고갈만 합니다.
후공 : 1코스트 악마와 소악마, 수정술사가 '모두' 갖춰지면 들고갈만 합니다.
사제는 사제의 라자,죽기가 나오기 전에 상대방의 명치를 공략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광명의 정령. 북녘골 성직자, 아키나이 영혼사제 등 파괴력 있는 하수인 외에 거의 명치를 달리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더 가치있는 하수인을 지키기위해 낮은 하수인을 정리하는 판단은 어느정도 필요합니다. 사제전에 가장 핵심 플레이는 카자쿠스의 광역 데미지, 아키나이+치유의 마법진 콤보, 용숨결 물약의 데미지를 맞고 생존할 수 있는 하수인을 한 개라도 살리는 방식입니다. 야비한 소악마, 공허 방랑자로 광역기를 맞아도 죽지않는 하수인을 도발안으로 지켜주면서 도발안에 있는 큰 하수인의 체력을 소진시키지 않고 명치를 빨리 달리는 플랜(6마나 전에 5마나 다른 플레이를 하지않고, 파멸수호병을 사용하는 플레이) / 혈폭풍 물약으로 광역기의 데미지를 피할 수 있는 플랜을 잘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적으로 라자쿠스 상대로는 한 장있는 카드들을 배제하면서 적극적으로 운영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용 사제는 요즘 천정내열을 사용하는 덱들이 정말 많습니다. 상대방이 이교도를 통해 역사가, 북녘골, 광명의 정령 등 공격력 낮은 하수인을 버프 부여하는 상황이 나오면 그 하수인을 잡지 못한다 하더라도 버프된 하수인의 체력을 낮게 만드는 플레이가 중요합니다. 물론 천정내열/내열을 의식할 만한 여유있는 상황에만 가능합니다.
황혼 파괴자가 너무 강력합니다. 혈폭풍 물약/수정술사로 최대한 각을 피하는게 중요합니다. 용 사제 상대로는 필드에 부여할 수 있는 버프가 많기 때문에, 라자쿠스 사제 상대와는 조금 다르게 상대방의 필드를 지워주는 운영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Amnesiac 선수의 덱이 가장 스탠다드한 구성이라고 생각합니다.
북미의 Fr0zen 선수가 WESG를 뚫은 위니 흑마법사 덱입니다. 12월17일에 WESG를 뚫고 트위터에 올린 덱이기 때문에 아직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르는 숨겨진 꿀덱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원한맺힌 소환사와 황천을 같이 쓰는 발상도 괜찮습니다. 무엇보다도 힘겨운 WESG를 뚫은 덱인 만큼 검증된 꿀덱이라 생각되었기에 소개해드립니다.
Amnesiac 선수 덱과 다르게 악마의 불꽃이 요즘 빠지는 추세입니다.
2마나에 바르면 정말 효과가 뛰어나지만 그 외에 상황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아서 늑대 우두머리, 아케루스 정예병 등의 하수인으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악마의 불꽃 자리에 늑대 한 장, 주문 파괴자 한 장을 사용할 것 같습니다.
얼왕기 때 위니 흑마법사로 고등수를 많이 가고 코볼트 때에도 많은 실험을 해보다가 이런 공략글을 써봅니다. 플레이 영상이 보고싶으시면 제 방송국 (https://www.twitch.tv/fire0804_)로 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승하세요!
컷
좋은 글 감사합니다~
123
던니던마ㄷㄷ
락카리
전 3코 모병관이랑 켈레 넣고 돌리는데 좋더라고요
ㅇㅇ
파이어좋아
ㅁㄴㅇㄹ
다음 공략은 확장팩이 나오면서 새로나온 컨셉의 덱을 소개해줬으면 좋겠어요!
?
위니흑마가 왜 사제임
ㅇㅇ
공략 진짜 세심하게잘썻네 다른사람도 일케써줫음좋겟다
라움
흑마법사덱리스트가 사제아이콘으로되어있넹.
sintha
파ㅡ하 방송 잘 보고 있습니다
ㅇㅇ
징그러운 지하벌레도 들고가야죠
알필요없다
파이어우승해라 파이어화이팅!
ㅇㅇ
수고하셧어요 ㅋㅋ